파이어베이스 실시간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테이블은
제이슨의 값을 웹에서 일일이 입력하는 방법인데
너무나도 불편하다.
다행히
Json 형식의 파일을 가져오기 해서 데이터 베이스를 한 번에 올릴 수 있다.

문제는 Json 파일은
중괄호 : 콜론 colon을 이용해서 값을 구분 지어야 해서 웹이 아니여도 만들기 힘들다.
배열? 행렬? 어레이?( array)는 대괄호로 처리해줘야하고, 자잘하게 손이 많이 간다.
그리고 또 문제는 Json 가져오기 해서 값을 올리면 이전의 값은 다 날아간다는 것.
올릴 때 이전의 값도 다 포함한 제이슨을 올려야 한다.
다행히 구글 부가기능
Export sheet data 를 깔고
구글 데이터 스프레스시트 를 한 번에 Json 으로 변환해서
Realtime Database에 가져오면 문제 해결
구글 시트에는 이전에 값이 다 저장되어 있으므로
수정할 것만 수정해서 Json으로 변환해서 뽑아내면 됨

한가지 팁은
특정 값은 배열로 뽑고 싶으면
시트 하나를 따로 만들고
거기에 배열로 뽑고 싶은 값을 넣은 후
Export sheet arrays
옵션을 체크 후
해당 시트만 뽑기 옵션인 Export Sheet(s) 의 Current sheet only
값을 선택한다.
이런 식 이다.

위의 데이터를 그냥 json으로 뽑으면 아래 처럼 첫 열의 name 을 기준으로 값이 묶인다.

Export sheet arrays 옵션을 체크 하면 1열도 오브젝트로 들어가고 각 행은 그냥 배열,
보이진 않지만 1, 2, 3, 이런 식의 숫자 배열 묶음이 된다.

위 이미지를 보면 배열 묶음 들은
대괄호 [] 로 묶인 것을 볼 수 있다.
출처: https://rucira-tte.tistory.com/227 [정세달의 기록소:티스토리] 참조하였음
** 중요한건 파이어베이스 실시간 데이터 베이스에선 값의 묶음을 1, 2, 3 이렇게 나눴을 때
배열로 묶이긴 하는데 1부터 시작했다면
Json 을 내보내기 해서 보면 0 의 값이 없으므로
해당 Json의 시작은, 다시말해서 0의 값은 null, 값으로 뽑힌다.
'IT 정보 > 플러터 flutt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flutter 버튼을 누르면 특정 텍스트를 클립보드에 복사하는 코드 (0) | 2024.05.18 |
---|---|
애드몹 app-ads.txt 을 깃허브에 올려서 구글 플레이 콘솔에 등록하기 (0) | 2024.02.20 |
flutter 출시 배포 빌드 하기 :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편 (1) | 2024.01.31 |
플러터 폰트 적용 (0) | 2024.01.22 |
백 키 막기 WillPopScope 코드 지원이 멈춘다고 합니다. 수정법 (0) | 2024.01.17 |
댓글